15
2021-Feb
30m DEM 파일과 90m DEM 파일의 차이, 등고선 그리는 방법?작성자: sincerekjh IP ADRESS: *.231.54.31 조회 수: 135
안녕하세요. 대학원에서 석사 공부를 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지금 논문을 쓰고 있는데, GIS 프로그램을 써서 논문 내용을 보완할 생각입니다.
다루고 있는 자료는 중국 동북지방의 유적입니다.
GIS프로그램 활용 방향은 우선 일정한 공간의 면적을 구하고, 다시 경사도에 따라서 급경사면과 완경사면을 분리하고 사람이 살 수 있는 가용면적을 추출하는게 목표입니다. 따라서 가장 기초적인 자료로 등고선이 저에게 중요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래서 DEM 자료에서 정확한 등고선은 어떻게 그리는지 알고 싶습니다. 등고선 그리는 툴을 누르고 클릭하니까 그려지긴 하는데 클릭하는데로 선이 생기더라구요. 그래서 다른 분들은 어떻게 그리시는지 자세한 방법이 궁금합니다.
마지막으로 현재 90m DEM 자료는 가지고 있는 상태인데 30m DEM 자료가 있다는 소식을 접해서요. 혹시 30m DEM 자료가 90m DEM 자료보다는 등고선이나 고도 표현 방법에서 세밀한가요?
구할 수 있다면 어떤 경로로 구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답변해주신 내용 감사합니다. 등고선 그리는 방법에 대해 자세한 설명이 가능하신지요?
등고선의 경우 contour 툴로 그릴 때 방식이 궁금합니다. contour 툴을 사용해서 마우스로 클릭하면 여러 등고선이 생성되기 때문에 제가 잘 그리고 있는 건지 의문이라서요. 5m면 5m, 30m면 30m 마다 등고선을 그리고 싶은데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알고 싶습니다.
사용하시는 SW마다 조금씩 다를텐데.. ArcGIS는 DEM을 이용하면 원하는 간격(interval)마다 등고선을 연산합니다.
QGIS는 제가 잘 몰라서, 다른 분들이 설명해주셔야하겠습니다.
https://pro.arcgis.com/en/pro-app/latest/tool-reference/spatial-analyst/contour.htm
제가 ArcGIS map 10.7.1 버전을 사용하고 있는데, 혹시 등고선 연산하는 방법을 알 수 있을까요? 혹시 위에 링크 달아놓으신 부분이 등고선 따는 방법인가요?
ArcMap은 아래 문서 보시면됩니다.
Spatial Analyst Extension이나, 3D Analyst Extension이 필요한 도구입니다.
해당 도구에 Input data에 DEM을 입력하고, 나머지 파라메터 설정해주신 후 도구 실행하면 등고선이 폴리라인 피처로 저장됩니다.
이 기능을 필요로 하시는게 아닌가요??
https://desktop.arcgis.com/en/arcmap/10.7/tools/spatial-analyst-toolbox/contour.htm
기술해주신 활용 방향에 따르면 경사도 연산과 가용면적의 추출이 주요 목적이 될 것 같습니다.
이 경우에 등고선은 Cartography 목적이 아니라면 DEM을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만 활용되는 것이 더 바람직할 것 같습니다.
일반적으로 DEM 해상도는 등고선의 간격에 따라 결정됩니다. (등고선을 활용하여 DEM을 생성한 경우에 한하여)
즉, 등고선의 간격이 5m라면 이를 활용한 DEM은 5m 해상도로 만들어지는 것이 자료의 신뢰도 측면에서 바람직합니다.
등고선을 그리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DEM을 보유하고 있다면 Contour와 같은 도구로 유도해낼 수 있습니다.
30m 급 DEM은 NASA의 ASTER GDEM인 것 같은데, 전세계를 커버하는 자료이므로 연구 목적에 맞게 가공하여 사용하시면 될 것 같네요.
https://earthdata.nasa.gov/learn/articles/new-aster-gdem
이곳에서 무료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