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거주지역 기준 세대별 추정 소득자료로 연평균 소득액 자료 제공 | | · 아파트, 빌라, 다세대, 일반주택의 가격 정보와 통계청 지역통계 자료 및 국세청의 납세정보 등을 결합하여 세대별 소득 추정 |
|
| | 1. 건물별 세대수 산정
2. 광역시별, 주택 종류별 1차 공간통계모델 생성
3. 시군구별 2차 공간통계모델 생성
4. 공간통계모델을 각 건물에 대입하여 가구소득 추정
· 상세 내용 Download XsDB_거주세대별 추정 소득_구축방법.pdf
(최초 작성일 2013년 1월 23일, 최종 수정일 2014년 3월 11일)
|
|
| |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샘플 데이터)
|
| | · SHP, 텍스트, 각 종 DB파일 형태 지원 |
|
| | · 5,263,070 건
(아파트 동 단위와) 같이 동일주소에 2세대 이상 거주하는 곳은 평균 소득 정보가 제공됨
|
|
|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샘플 데이터
|
| | · 일반적으로 상품의 판매 건수나 매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소득수준임. 소득데이터를 활용하여 신규고객 발굴 가능성이 높은 지역을 추출하여 타겟 프로모션을 고려할 수 있음
- 서울시 소득수준 분포 지도(X-Ray Map에서 구현)
- 붉은색일수록 가구 소득이 높은 지역임
|
|
| | · 제공하는 추정 소득은 국토교통부, 통계청, 국세청 자료 등을 결합하여 추정한 데이터이기 때문에 실제 소득과는 다소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음
· 따라서 지적단위로 정보를 조회하는 목적으로 사용하기보다는 반경이나 블록 등으로 집계하여 사용하는 것을 권장함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