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
2013-Apr
WindRose 다이어 그램을 이용한 시각화방법작성자: 김한국 IP ADRESS: *.35.162.99 조회 수: 14336
GIS의 가장 큰 장점은 사회현상을 시각화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다양한 시각화 방법이 분석 방법론으로 정립되어 있고, 새로운 시각화 방법이 시도되고 있습니다.
우선 지도 시각화 방법론의 가장 기초적인 몇 가지에 대해 말씀드려보겠습니다.
BIZ-GIS.com에 방문하시는 분들은 모두 다 알고 계시는 방법입니다. ^^
1. 시각화 방법 1번째 - 점데이터 표현
위 점데이터 표현방법은 직관적이라는 강점이 있습니다. 다만, 직관적으로 지역을 이해하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노란 점은 노원구 인근의 아파트 동입니다.
각 점은 각기 다른 세대수를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모두 하나의 점으로만 표시가 됩니다.
(물론 이러한 구분을 위해 파이차트 등의 표현방법이 있긴 합니다.)
위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고 직관적으로 지역을 이해하기 용이한 방법 중 하나가 밀도 표현방법입니다.
2. 시각화 방법 2번째 - 밀도표현
1번 점데이터를 이용하여 아파트 세대수를 가중값으로 하여 작성한 아파트 밀집도입니다.
(GIS 분석이 익숙하신분 기준으로) 매우 직관적인 자료입니다.
파란색으로 나타난 지역이 아파트세대가 많은 지역입니다.
이러한 지역을 Hot Spot(관심지역)라고 합니다.
범죄의 분포를 밀도로 그린다면 범죄발생 Hot Spot를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겠죠. 의사결정권자는 범죄 Hot Spot에 경찰 순찰차를 보내는 등의 정책 수립이 가능할 것입니다.
이렇듯 밀도 분석방법은 매우 효율적인 표현방법입니다.
(저와 같은 인문사회분야 GIS 분석가들이 분석 프로젝트에 투입되면 전체 지도 중 80% 이상은 밀도지도를 작성합니다.)
이렇게 뛰어난 표현 방법인 밀도 분석에도 한계가 있습니다.
GIS를 잘 모르는 일반인은 밀도 지도를 매우 낮설게 느낀다는 것입니다.
이들에게 GIS를 공부하라고 얘기하는 것은 현명한 방법이 아닙니다.
이러한 이유때문에, 보다 쉽고 보다 직관적인 지도 표현 방법에 대해 고민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러던 중 함께 일하는 동료에게 WindRose 다이어그램의 소개 받았습니다.
구글 검색을 통해 많은 자료를 확인했는데 지도상에 표현하는 방법은 찾지 못했습니다.
미국 ESRI 커뮤니티에도 관련 질문이 올라왔지만 명쾌한 답변은 없습니다.
그래서,
BIZ-GIS 내부적으로 간단한 프로그램을 만들어 WindRose 다이어그램을 지도상에 표현해 보기로 했습니다.
(오늘 작업해봤습니다)
3. 시각화 방법 3번째 - WindRose 다이어그램
위 지도는 노원 롯데백화점(붉은 사각형)을 중심으로 아파트 거주인구 분포를 WindRose 다이어그램으로 표현한 그림입니다.
다이어그램이 많이 확대된 곳은 아파트 거주인구가 많은 지역입니다.
반대로 길이가 짧은 곳은 거주인구가 많지 않은 지역입니다.
검증을 위해 밀도지도와 겹쳐 보도록 하겠습니다.
WindRose 다이어그램은 특정 지점을 기준으로 관심 대상으로 탐색합니다.
그리고 지도를 구독하는 사람에게 관심대상의 규모와 지리적 방향성을 동시에 전달해주는 특징이 있습니다.
GIS를 모르는 일반인들이 WindRose 다이어그램 표현 방법론에 대해 어떻게 평가할지 아직은 잘 모르겠습니다.
밀도표현 방법보다 직관적이다라고 느낀다면 일단 성공한 셈이죠... ^^
아래 장표는 WindRose 다이어그램을 활용한 것입니다.
백화점을 중심으로 아파트 세대수 분포와 고객의 분포 패턴이 다르다는 것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파트 분포는 11시~12시 방향에 가장 많이 분포해 있지만, 고객의 분포는 4시~5시 방향에 가장 많이 분포해 있습니다.
이는 흥미로운 대목입니다.
사람이 많이 거주한다고 해서 고객이 많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어떤 사람이 많이 거주하는지가 중요하다는 얘기인 것이죠.
GIS로는 이러한 작업을 매우 빠르게 진행할 수 잇습니다.
우선 1번 지역은 소득이 낮은 지역입니다.
그리고 2번 지역은 소득이 높은 지역입니다.(아래 장표의 표 참조)
이러한 특징을 하나씩 확인하면서 고객들의 특징을 파악해 갈 수 있습니다.
여기에 보다 다양한 데이터를 올려서 확인하면 고객의 특성을 정성적/정량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이는, 마케팅을 보다 고도화 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얘기가 다른 곳으로 잠시 흘렀습니다.
(오늘 글에는 분석에 대한 얘기는 가급적 하지 않을 생각입니다.)
저희가 만나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GIS를 잘 모르는 일반입니다.
때문에, 직관적이고 통찰력 있는 지도를 어떻게 제작하여 전달할지가 중요합니다.
오늘은 그 노력의 일부로 WindRose 다이어그램을 지도에 적용하여봤습니다.
혹시나, 좋은 의견 있으신 분들은 리플 달아주세요...
ps. 그리고 WindRose 다이어그램을 지도상에 표출하는 작업은 수작업으로는 불가합니다.
저희 또한, 간단한 프로그램을 만들어서 위 분석을 진행하였습니다.
해당 프로그램은 정리가 되는대로 자료실에 공유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Cartography 의 중요성이 여기서 나오는듯합니다.
비전문가들을 이해시키는방법....
한수배우고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