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을 대상으로 공간회귀 분석을 진행하려고. 집계구 기준으로 공공데이터 병합 후 막상 지오다로 분석을 진행하려고보니. 인접지역이 아닌 섬들이 섞여있고. 특정지역은 섬과 내륙 일부가 동일 집계구로 구성돼 있어서요ㅜ
이경우 거리기반으로라도 공간가중치 행렬 가능한가요?
아님 섬은 제외하고 진행해야 하나요?
공반회귀분석이 가능은 한가요?ㅜ
초보다 보니 많이 부족합니다.ㅠ 도와주세요ㅠ
아마 데이터를 원본 그대로 사용하시는 듯 하네요. 공간회귀분석은 두가지로 데이터를 인식하는데 하나는 Queen 방식과 다른 하나는 Rook 방식입니다. 두 방식 모두 인접한 상태에서 분석합니다. 예를 들면 사각형의 경우 각 사각형의 4면 또는 모든 면이이 인접되어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섬을 제외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그럼 GeoDa에서 공간회귀분석이 가능합니다. GeoDa Space도 같은 방식으로 됩니다.
님께서 하신 방식은 집계구를 기준으로 하셔서 그런것 같아요. 집계구에서 각 섬은 모두 별도로 떨어져 있어서 나타나는 현상일겁니다.
아마 데이터를 원본 그대로 사용하시는 듯 하네요. 공간회귀분석은 두가지로 데이터를 인식하는데 하나는 Queen 방식과 다른 하나는 Rook 방식입니다. 두 방식 모두 인접한 상태에서 분석합니다. 예를 들면 사각형의 경우 각 사각형의 4면 또는 모든 면이이 인접되어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섬을 제외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그럼 GeoDa에서 공간회귀분석이 가능합니다. GeoDa Space도 같은 방식으로 됩니다.
님께서 하신 방식은 집계구를 기준으로 하셔서 그런것 같아요. 집계구에서 각 섬은 모두 별도로 떨어져 있어서 나타나는 현상일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