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가장 기본적인질문일 지도 모르겠습니다.
질문은 두가지 입니다.
1. 클립과 인터섹트의 차이점은 무엇인지?
-분석을 여러번 해보아도 무엇이 차이점인지 모르겠습니다.
2. 클립할 때 베이스맵을 무엇으로 두는지가 큰 영향이 있는지?
A레이어, B레이어에서 겹치는 공간만 추출하고 싶어 클립분석을 했습니다.
예를들어,
A레이어 안에 B레이어랑 겹치는 부분이 어느정도인지 알고싶어서
A레이어를 베이스로 두고, B레이어를 추출했습니다.
그런데 A와 B를 바꾸어도 겹치는 공간은 동일 할 것이라고 생각하고
B를 베이스로 두고 A를 추출했더니, 값이 다르게 나옵니다.
제가 생각하기에, 베이스맵을 무엇으로 두는지가 영향을 주는것 같은데 무엇인지 알 수 없습니다. ㅜㅜ
도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클립과 인터섹트의 차이점은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 Intersect는 교집합을 구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 input 파일과 intersect 파일과 중복되는 부분을 구하게 됩니다.
: Clip은 Input 파일 중 Clip 파일과 중복되는 부분을 구합니다.
: Clip 과 Intersect의 차이는 속성의 차이입니다.
Intersect는 Union + Clip 과 유사하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속성 테이블을 열어보면 input 파일, intersect 파일의 필드가 다 포함되어 있습니다.
Clip은 Input 파일의 필드만 있습니다.
2. Clip으로 구해야 하는 자료가 어떤 레이어의 자료인지를 알아야 합니다.
A 레이어의 자료를 원하면 A 레이어가 input 파일이어야 하고,
B 레이어의 자료를 원하면 B 레이어가 input 파일이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서울시 토양도가 있는데, 강남구 지역의 토양도를 원하면
input은 서울시 토양도, Clip 파일은 강남구 경계 파일로 하고
Clip을 시행하면 강남구 토양도가 나옵니다.
반대로 input을 강남구 경계파일, Clip 파일을 서울시 토양도 파일로 하고
Clip을 시행하면 토양도 부분이 있는 강남구 파일이 나옵니다.
두 개의 자료는 전혀 틀린 자료가 되겠지요.
그럼, 수고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