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
2009-Feb
범용토양손실공식(USLE)에서 경사면 및 경사인자(LS) 구하는 방법작성자: 김한국 IP ADRESS: *.129.59.114 조회 수: 34391
예전에 아는 사람의 요청으로 만들었던 문서입니다.
그 중에서 경사인자(L, S) 값을 구하는 방법을 ArcGIS로 정리한 내용입니다.
별건 없는데 혹시나 도움이 될까해서 올립니다.
범용토양손실공식 USLE(Universal Soil Loss Equation)
개요:
USLE는 Wischmeier와 Smith(1965)에 의해 처음 제안되었는데 이 모형이 개발될 당시 강우에 의한 토립자의 이탈 및 운송에 의한 개념을 기초로 하여 강우에 의한 침식성(R)에 보다 많은 연구가 집중되었다.
경사가 완만하고 경사길이가 짧은 경우에는 강우에 의한 토립자의 이탈과정이 주요한 침식기작이 될 수도 있지만 실제 유역에서는 이와 같은 환경만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정한 방정식이 RUSLE로서 다양한 시나리오하에서 유역이라는 광범위한 지역에 적용될 수 있게 되었다.
RUSLE 침식모형식은 다음 방정식으로 표현된다.
A = R×K×L×S×C×P
-A는 연평균 토양침식량
-R은 강우에 의한 침식성(erosivity)
-K는 토양에 의한 침식성(erodibility)
-L은 경사길이, S는 경사도
-C는 식생피복인자
-P는 토양보전 대책인자.
(나머지 인자는 생략하고 경사면 및 경사인자 추출하는 과정만 정리함)
경사면 및 경사인자(LS): LS = (X/22.3)m × (0.065+0.045S+0.0065S2)
- X는 사면장
- S는 %경사도
- m은 지면경사도
지면경사도는 S에 따라 변하는데 추천 값은 다음과 같음
S>5%일 때 m=0.5
3% 1% S<1% 일때 m=0.2
사면장이란?
DEM의 중심점에서 인접한 DELL까지의 거리
그림으로 설명을 하면...
1,3,5,7 방향과 2,4,6,8 방향의 길이가 다른다.
(사용된 격자 크기는 10×10m인경우)
1,3,5,7 방향 사면장 = 10m
2,4,6,8 방향 사면장 = 10m * √2 (대각선 방향이므로 뉴트2 곱해줌)
LS구하는 과정 ===========================================================
절차 1. 경사도 구하기(경사도 구하는 툴 사용법은 설명을 따라 안드립니다.^^)
%단위로 그려야 하므로 Percent를 체크
절차 2. 경사도 재분류
Reclassify 의 NewValue에 0.2, 0.3, 0.4, 0.5 값을 입력해야하지만 실수 입력이 안되기 때문에 우선 정수로 입력하고 이후에 나누기 10해서 m 값을 만듬
아래는 결과
위 결과에는 곱하기 10이 되어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10으로 나눠준다
[m_value] / 10.0 식을 이용하여 m_value 계산
(* [m_value] / 10 식을 이용하면 안됨! 분모를 소수점형태로 변환하여야 됨)
절차 3. 사면장 구하기
사면장을 구하기 위해 먼저 방향성 분석실시(ArcHydro 툴의 Flow Direction) (ArcHydro 사용법은 여기 참고 http://www.biz-gis.com/bbs/zboard.php?id=paper&page=2&sn1=&divpage=1&sn=off&ss=on&sc=on&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19)
1, 4, 16, 64방향의 길이는 직각이기 때문에 길이(시면장)는 셀의 크기와 동일
하지만
2, 8, 32, 128방향의 길이는 대각선이기 때문에 길이(사면장)는 셀의 크기*
1, 4, 16, 64방향은 2(셀의 크기가 2이기때문에)
2, 8, 32, 128방향은 2.828(2 * √2)로 Reclassify
위에서 얘기했듯이 Reclassify는 실수가 안되기 때문에 우선
1, 4, 16, 64방향은 2000으로
2, 8, 32, 128방향은 2828 (2 *√2)으로 일반화 후에 1000으로 나누자
[x_value] / 1000.0 식을 이용하여 m_value 계산 ([x_value] / 1000.0 식을 이용하면 안됨! 분모를 소수점형태로 변환)
경사면 및 경사인자(LS): LS = (X/22.3)m(0.065+0.045S+0.0065S2)
Pow(([X] / 22.3), [M]) * (0.065 + 0.045 * [slope] + 0.0065 * ([slope] * [slope]))
결과화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