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6
2008-Nov
지번 19자리 설명작성자: 김한국 IP ADRESS: *.244.220.254 조회 수: 49014
업무때문에 가끔 참고할 일이 있는데 그때마다 헤깔려서 인터넷 문서를 옮겨봤습니다.
일반적으로 지적도의 속성을 보면 PNU라는 필드에 19자리 숫자가 있습니다.
이 코드가 지번입니다.
1111011900100770001
위와 같이...
아래 설명을 참고하여 지적도의 시도, 읍면동을 ArcGIS에서 추출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시도 필드 추가
2. mid([PNU], 1, 2) 를 이용하여 필드 계산 (PNU필드의 앞에서 1번째에서 두개의 값을 입력)
시군구 추출과정은
1. 시군구 필드 추가
2. mid([PNU], 3, 3) 를 이용하여 필드 계산
지번 19자리 설명 |
고유번호(Unique Number)라 함은 토지의 개별성을 나타내기 위하여 필지별 아라비아숫자로 부여한 가변성이 없는 번호를 말하는 것으로서 주민등록번호와 같이 지적법전문개정 당시에(1975.12.31, 법률 제2801호) 전산화를 대비하기 이하여 토지·임야대장의 카드화사업과 병행 전국의 토지에 대하여 고유번호를 일제히 부여하였으며 행정구역개편으로 인하여 관할구역이 변경될 경우에는 시·도지사 경유 내무부장관의 고유번호 신규부여 및 변경에 대한 사전 승인을 받아 가제정리를 하여야 한다. 이러한 고유번호는 전산화사업이 완료된 후 각종자료의 검색에 Key의 역할을 하게 되며 다음과 같이 행정구역에 해당하는 10자리와 지번에 해당하는 9자리를 포함하여 19자리로 구성되어 있다.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 77-1번지의 고유번호 예시는 (그림)과 같다.
예) 1111011900 - 100770001
11 110 119 00 1 0077 0001 |
(19자리) |
|
시·군·구(3자리) 읍·면·동(3자리) 리(2자리) 산지번 여부(1자리) 본번(4자리) 부번(4자리) |
주: 대장구분번호는 토지대장『1』 ,임야대장『2』, 폐쇠된 토지대장『8』, 폐쇠된 임야대장『9』, 로 부여하고 시와 구지역의 "리" 단위에는『○○』으로 부여하여야 함.